1. Verilog HDL 개요와 연산자의 중요성
 Verilog HDL(하드웨어 기술 언어)은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입니다. 이 언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동작을 기술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논리 합성을 통해 실제 회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산자는 계산 및 신호 조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이 문서는 Verilog 연산자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종류·사용법·주의점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를 읽으면 Verilog 연산자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오류를 최소화한 회로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2. Verilog에서의 숫자 표현
 Verilog는 숫자를 표현하는 고유한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연산자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숫자 표현의 기본을 설명합니다.숫자 표현의 기본 형식
 Verilog에서 숫자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됩니다.<bit-width>'<base><value>
각 구성 요소 설명
- 비트 폭 : 값이 차지하는 비트 수를 지정합니다.
예시: 4는 4비트를 의미합니다.
- 진법 : 진법을 지정합니다. 다음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 b: 이진수
- o: 팔진수
- d: 십진수
- h: 16진수
- 값 : 실제 숫자 값입니다.
예시
- 4'b1010→ 10을 나타내는 4비트 이진수.
- 8'd255→ 255를 나타내는 8비트 십진수.
- 16'hABCD→ ABCD를 나타내는 16비트 16진수.
비트 폭 생략
 비트 폭을 생략하면 대부분의 툴과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기본값을 32비트로 간주합니다.주의 사항
 비트 폭을 명시하지 않은 값을 사용하면 합성 시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상 비트 폭을 명시적으로 선언하는관을 들이세요.정의되지 않은 값과 고임피던스
 Verilog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정의되지 않은 값(X)” 또는 “고임피던스 값(Z)”이 숫자 값으로 취급됩니다.- 1'bx: 정의되지 않은 값.
- 1'bz: 고임피던스 값.
시뮬레이션에서는 유용하지만, 합성 시 오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연산자 개요 및 분류
 Verilog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는 계산 및 신호 조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연산자의 분류와 기본 개요를 설명합니다.연산자 분류
 Verilog 연산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산술 연산자 * 수치 계산을 수행합니다.
* 예시: +,-,*,/,%
- 비트 연산자 * 비트 수준에서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 예시: &,|,^,~
- 축소 연산자 * 비트 단위 논리 연산을 하나의 비트 결과로 축소합니다.
* 예시: &,|,^
- 시프트 연산자 * 비트 시퀀스를 좌·우로 이동시킵니다.
* 예시: <<,>>,<<<,>>>
- 관계 연산자 * 두 값을 비교하고 불리언 결과를 반환합니다.
* 예시: <,<=,>,>=,==,!=`
- 조건 연산자 * 조건에 따라 값을 반환합니다.
* 예시: ? :
- 연결 연산자 * 여러 비트 시퀀스를 하나로 연결합니다.
* 예시: {}
각 카테고리 개요
산술 연산자 기본
 산술 연산자는 덧셈, 뺄셈, 곱셈 등 수치 계산을 수행합니다.  reg [7:0] a, b, result;
  assign result = a + b; // add a and b
비트 연산자 기본
 비트 연산자는 각 비트에 대해 AND, OR, XOR 등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reg [3:0] a, b, result;
  assign result = a & b; // AND operation
축소 연산자 기본
 축소 연산자는 벡터의 모든 비트를 하나의 비트 값으로 축소합니다.  reg [3:0] a;
  assign result = &a; // AND reduction of all bits
조건 연산자 기본
 조건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합니다.  assign result = (a > b) ? a : b; // return a if a > b, otherwise b
- 연산자 사용법 및 주의사항
이 섹션에서는 Verilog HDL의 각 연산자에 대한 자세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설명합니다. 각 연산성을 이해함으로써 적절히 적용할 수 있습니다.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및 모듈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연산자입니다.주요 연산자 및 예시
|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 덧셈 | result = a + b | a + b의 값 | 
| - | 뺄셈 | result = a - b | a – b의 값 | 
| * | 곱셈 | result = a * b | a × b의 값 | 
| / | 나눗셈 | result = a / b | a ÷ b의 값 | 
| % | 모듈로 | result = a % b | a를 b로 나눈 나머지 | 
사용 시 주의사항
- 정수 전용 연산 :
Verilog는 부동소수점 연산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모든 계산은 정수로 처리됩니다.
   // Floating-point arithmetic is not supported
   real a = 3.5, b = 1.5;
   // assign result = a / b; // Error
- 곱셈 및 나눗셈 합성 제한 :
곱셈(*) 및 나눗셈은 시뮬레이션에서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합성 시에는 상당한 하드웨어 자원을 소모합니다. 명시적으로 멀티플라이어를 사용하거나 시프트 연산으로 대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비트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비트 수준에서 신호를 조작합니다. 주요 유형은 AND, OR, XOR, NOT입니다.주요 연산자 및 예시
|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 AND | result = a & b | a와 b의 비트별 AND | 
| | | OR | result = a | b | a와 b의 비트별 OR | 
| ^ | XOR | result = a ^ b | a와 b의 비트별 XOR | 
| ~ | NOT | result = ~a | a의 비트별 NOT | 
사용 시 주의사항
- 비트 폭 일치 :
피연산자의 비트 폭이 다르면 결과는 더 큰 폭을 취합니다. 이를 주의 깊게 관리하지 않으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g [3:0] a;
   reg [7:0] b;
   assign result = a & b; // result will be 8 bits wide
- 정의되지 않은 값 처리 :
정의되지 않은(X) 또는 고임피던스(Z) 값을 포함한 신호에 비트 연산을 수행하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축소 연산자
 축소 연산자는 벡터의 모든 비트를 하나의 비트 결과로 압축합니다.주요 연산자 및 예시
|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 AND 축소 | result = &a | a의 모든 비트가 1이면 1 | 
| | | OR 축소 | = |a | a의 어느 비트라도 1이면 1 | 
| ^ | XOR 축소 | result = ^a | 모든 비트에 대한 XOR의 패리티 결과 | 
사용 시 주의사항
- 결과 해석 :
축소 연산자의 결과는 단일 비트입니다. 이를 사용할 때 비트가 논리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인식해야 합니다.
  reg [3:0] a = 4'b1101;
  assign result = &a; // Result: 0 (not all bits are 1)
시프트 연산자
 시프트 연산자는 비트 시퀀스를 좌우로 이동시킵니다. 기본 연산자는 좌측 시프트(<<)와 우측 시프트(`)이며, 산술 시프트(<<<,>>>`)도 포함됩니다.주요 연산자 및 예시
|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 논리적 좌측 시프트 | result = a << 2 | a를 왼쪽으로 2비트 시프트 | 
| >> | 논리적 우측 시프트 | result = a >> 2 | a를 오른쪽으로 2비트 시프트 | 
| <<< | 산술 좌측 시프트 | result = a <<< 2 | a를 왼쪽으로 2비트 시프트 | 
| >>> | 산술 우측 시프트 | result = a >>> 2 | 부호 비트를 유지하면서 오른쪽 시프트 | 
사용 시 주의사항
- 부호 있는 값과 부호 없는 값 :
부호 있는 숫자를 다룰 때는 산술 시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reg signed [7:0] a = -8'd4; // Store -4
   assign result = a >>> 1;    // Result: -2
- 범위를 초과한 시프트 양 :
If the shift amount exceeds the bit-width, the result may 0. Be careful when applying shifts.
  
5. 관계, 조건 및 연결 연산자에한 설명
 이 섹에서는 Verilog HDL에서 사용되는 관계 연산자, 조건 연산자 및 연결 연산자를 설명합니다. 이러한 연산자는 조건 분기와 신호 조작에 필수적입니다.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하고 부울 결과를 반환합니다. 비교 결과는 부울(1 또는 0)로 제공됩니다.주요 연산자 및 예시
| 연산자 | 의미 | 예시 | 결과 | 
|---|
| < | 보다 작음 | `result = a < b가 b보다 작으면 1 |  | 
| <= | 보다 작거나 같음 | result =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으면 1 | 
| > | 보다 큼 | result = a > b | a가 b보다 크면 1 | 
| | 보다 크거나 같음 |result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1 |  |  | 
| == | 같음 | result = a == b | a와 b가 같으면 1 | 
| != | 같지 않음 | result = a != b | a와 b가 다르면 1 | 
사용 시 주의사항
- 부호 있는 비교와 부호 없는 비교 :
Comparisons between signed and unsigned values can result in unintended outcomes.
   reg signed [3:0] a = -2;
   reg [3:0] b = 2;
   assign result = (a < b); // Result: 0 (due to signed interpretation)
- 정의되지 않은 값 처리 :
Comparisons involving XorZcan produce undefined results. Watch out for warnings during simulation.
조건 연산자
 조건 연산자는 식에 따라 값을 선택합니다. 이는 C에서도 사용되는 익숙한 삼항 연산자입니다.Syntax
result = (condition) ? value1 : value2;
Example
reg [7:0] a = 8'd10;
reg [7:0] b = 8'd20;
assign result = (a > b) ? a : b; // If a > b, return a, otherwise b
사용 시 주의사항
- 중첩 피하기 :
Nesting conditional operators makes code complex and reduces readability. Use if-elsestatements if possible.
   // Example of reduced readability
   assign result = (a > b) ? ((c > d) ? c : d) : e;
- 시뮬레이션과 합성 :
When synthesized, conditional expressions are converted into branching logic like casestatements. Complex conditional operators may impact resource usage.
연결 연산자
 연결 연산자는 여러 비트 시퀀스를 하나로 결합합니다.Syntax
{bit-sequence1, bit-sequence2, ...}
Example
reg [3:0] a = 4'b1101;
reg [3:0] b = 4'b0011;
wire [7:0] result;
assign result = {a, b}; // Result: 8'b11010011
사용 시 주의사항
- 비트 폭 확인 :
The result width is the sum of all concatenated sequences. If the result variable has insufficient width, truncation occurs.
   reg [3:0] a = 4'b1101;
   reg [3:0] b = 4'b0011;
   wire [5:0] result;
   assign result = {a, b}; // Insufficient width, truncation occurs
- 값의 순서 :
In concatenation, the leftmost value is placed in the higher bits. Incorrect order may lead to unintended results.
  
6. 연산자 우선순위와 결합성
 Verilog HDL에서 표현식에 여러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우선순위와 결합성 규칙에 따라 평가됩니다. 이러한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면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Verilog의 연산자 우선순위와 결합성을 설명합니다.연산자 우선순위
 Verilog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순서(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 순)로 평가됩니다.| 우선순위 | 연산자 | 유형 | 결합성 | 
|---|
| 1 | () | 괄호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2 | ~,!,&,|,^,~^ | 단항 연산자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 
| 3 | *,/,% | 산술 연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4 | +,- | 산술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5 | <<,>>,<<<,>>> | 시프트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6 | <,<=,>,>= | 관계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7 | ==,!= | 동등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8 | &,^,| | 비트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9 | && | 논리 AND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10 | || | 논리 OR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 11 | ? : | 조건 연산자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 
사용 시 주요 포인트
- 괄호 사용 :
연산자 우순위를 알고 있더라도, 복잡한 식에서는 괄호를 사용해 평가 순서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 Clear expression
   assign result = (a + b) * c;
- ** 연산자 우선순위** :
조건 연산자(? :)는 대부분의 다른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예기치 않은 평가 순서를 피하려면 괄호를 사용하세요.
   // Be careful with precedence of ? :
   assign result = a > b ? a + c : b - c; // Works, but parentheses are safer
결합성
 결합성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진 여러 연산자가 동시에 나타날 때 평가 순서를 결정합니다. Verilog에서는 대부분의 연산자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결합하지만, 일부(예: 단항 연산자와 조건 연산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결합합니다.결합성 예시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연산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평가됩니다.
   assign result = a - b - c; // ((a - b) - c)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
연산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평가됩니다.
   assign result = a ? b : c ? d : e; // (a ? b : (c ? d : e))
우선순성 문제 방지
사례 연구: 우선순위 오해
assign result = a + b << c; // Which is evaluated first?
- <<연산자가- +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식은 다음과 같이 평가됩니다:
  assign result = a + (b << c);
사례 연구: 괄호를 이용한 명확화
assign result = (a + b) << c; // Clarifies intended behavior
- 괄호를 사용하면 의도가확해져 디버깅 및 코드 리뷰가 쉬워집니다.
  
7. 연산자 사용 시 주의사항 및 흔한 오류
 Verilog HDL에서 연산자를 사용할 때는 설계와 시뮬레이션 모두에 대한 특정 주이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면 버그와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연산자를 다룰 때의 주의사항과 흔히 발생하는 오류 사례를 설명합니다.주의사항
1. 정의되지 않은 (X) 및 고임피던스 (Z) 값 처리
 시뮬레이션에서는 정의되지 않은 값(X)과 고임피던스(Z)가 자주 나타나지만, 합성 단계에서는 무시되거나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주의점
- 계산 결과가 X가 되면 예측할 수 없는 동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Z값은 주로 삼상 버퍼와 특정 회로 구성에서 사용됩니다.
대응 방안
- 정의되지 않을 수 있는 신호를 명시적으로 초기화합니다.
- 시뮬레이션 중에는 $display또는$monitor를 사용해 신호 값을 추적합니다.
예제 코드
reg [3:0] a = 4'bz; // High impedance
assign result = a + 4'b0011; // Result becomes undefined (X)
2. 부호 있는 연산과 부호 없는 연산
 연산자가 부호 있는지 부호 없는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주의점
- 부호 있는 신호와 부호 없는 신호를 혼합하면 연산은 기본적으로 부호 없는 것으로 처리됩니다.
- 부호 있는 숫자를 올바르게 다루려면 $signed또는$unsigned를 사용해 명시적으로 형변환합니다.
대응 방안
- 부호 있는 신호와 부호 없는 신호를 혼합할 때는 타입을 통일합니다.
- 부호 있는 산술 연산이 필요할 경우 부호 있는 타입을 명시적으로 사용합니다.
예제 코드
reg signed [3:0] a = -4;
reg [3:0] b = 3;
assign result = a + b; // Evaluated as unsigned
3. 비트 폭 불일치
 입력 피연산자의 비트 폭이 서로 다르면 결과는 더 큰 폭을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주의 사항
- 결과 폭이 충분하지 않으면 잘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프트 연산의 경우, 시프트 양의 폭이 부족하면 올바르지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대책
- 잘림이나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해 비트 폭을 명시적으로 지정합니다.
- 필요할 경우 제로 패딩을 사용합니다.
예제 코드
reg [3:0] a = 4'b1010;
reg [7:0] b = 8'b00001111;
assign result = a + b; // Result becomes 8-bit wide
일반적인 오류 사례와 해결책
1. 조건 연산자 우선순위 오해
오류 예시
assign result = a > b ? a + c : b - c > d;
- 평가 순서가 잘못되어 예상치 못한 동작이 발생합니다.
해결책
assign result = (a > b) ? (a + c) : ((b - c) > d);
2. 부호 있는 연산의 불일치
오류 예시
reg signed [7:0] a = -8'd10;
reg [7:0] b = 8'd20;
assign result = a + b; // Evaluated as unsigned
해결책
assign result = $signed(a) + $signed(b); // Explicit signed evaluation
3. 범위를 초과한 시프트 양
오류 예시
assign result = a << 10; // If a is only 8 bits, this produces an invalid result
해결책
assign result = (10 < $bits(a)) ? (a << 10) : 0; // Limit shift amount
문제 해결 팁
- 시뮬레이션 로그 사용 : $display또는$monitor로 신호 값을 단계별로 추적합니다.
- 시뮬레이션 파형 확인 : 정의되지 않은(X) 또는 고임피던스(Z) 값이 나타나는 위치를 파악합니다.
- 작은 블록 테스트 : 큰 설계의 일부를 격리하여 검증함으로써 문제를 보다 쉽게 찾습니다.
  
8. 요약
 이 문서에서는 Verilog HDL 연산자들의 종류, 사용법, 주의 사항 및 일반적인 오류 사례를 설명했습니다. 연산자는 하드웨어 설계의 기본이자 중요한 요소이며, 올바른 이해와 사용은 설계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입니다.
다음은 핵심 내용 요약입니다:연산자 기본 구분
- 산술 연산자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 기본 수치 연산)
- 비트 연산자 (비트 수준 조작)
- 축소 연산자 (전체 비트 벡터 평가)
- 시프트 연산자 (좌·우 비트 시프트)
- 관계 연산자 (값 비교)
- 조건 연산자 (삼항 연산자를 통한 분기)
- 연결 연산자 (비트 시퀀스 결합)
사용 시 주의 사항
- 정의되지 않은(X) 및 고임피던스(Z) 값
- 시뮬레이션에서 자주 나타나며 전파를 방지하려면 초기화를 신중히 해야 합니다.
- 부호 있는 값과 부호 없는 값 혼용
- 부호 있는 연산과 부호 없는 연산을 혼용하면 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signed또는$unsigned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세요.
- 비트 폭 관리
- 폭이 다를 경우 잘림이나 제로 패딩에 유의하세요.
- 복잡한 식에서 연산자 우선순위
- 괄호를 사용해 평가 순서를 명시적으로 제어하고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하세요.
문제 해결 팁
- 시뮬레이션 로그($display,$monitor)와 파형 뷰어를 활용합니다.
- 큰 설계를 작은 테스트 가능한 모듈로 나눕니다.
최종 메모
 Verilog HDL 연산자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고품질 디지털 설계의 기반입니다. 이 문서의 내용을 적용해 시뮬레이션부터 합성까지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으세요.
보다 고급 프로젝트에서는 회로 규모에 맞는 최적화 기법 및 설계 전략을 고려하십시오.  
FAQ (자주 묻는 질문)
Q1. Verilog에서 연산자는 무엇인가요?
 A. Verilog의 연산자는 산술, 비트 수준 연산, 조건 분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산술 연산자, 비트 연산자, 축소 연산자, 시프트 연산자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숙달하면 간결하고 효율적인 하드웨어 설계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Q2. 조건 연산자(? :)와 if-else 문은 어떻게 다릅니까?
 A. 조건 연산자는 한 줄로 간결하게 조건부 할당을 할 때 편리하지만, if-else는 여러 조건을 처리하거나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때 더 적합합니다.
예시: 조건 연산자assign result = (a > b) ? a : b;
예시: if-elseif (a > b)
    result = a;
else
    result = b;
Q3. 정의되지 않은(X) 및 고임피던스(Z) 값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A. 시뮬레이션에서는 유용하지만, 이러한 값은 종종 합성 오류를 일으킵니다. 문제를 피하려면:- 신호 초기화 : 사용되지 않는 신호에 적절한 초기값을 할당합니다.
- 불필요한 Z 상태 회피 : 트라이스테이트 버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합성 코드에서 Z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Q4. 시프트 연산자(<<, >>)는 어떻게 작동합니까?
 A. 시프트 연산자는 비트 시퀀스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는 왼쪽 시프트, >>는 오른쪽 시프트를 의미합니다.
예시:assign result = a << 2; // Shift a left by 2 bits
assign result = a >> 2; // Shift a right by 2 bits
주의: 비트 폭을 초과하여 시프트하면 정의되지 않은 동작이 발생하거나 출력이 0이 될 수 있습니다.Q5. Verilog에서 부호 있는 숫자를 어떻게 처리합니까?
 A. signed 키워드를 사용하거나 $signed를 명시적으로 캐스팅하여 올바른 부호 연산을 보장합니다.
예시:reg signed [7:0] a = -8'd10;
reg [7:0] b = 8'd20;
assign result = $signed(a) + $signed(b);
Q6. 서로 다른 비트 폭을 가진 신호를 연산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입니까?
 A. 연산 결과는 가장 큰 피연산자의 폭을 취하므로 잘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제로 패딩을 사용하십시오.
예시:reg [3:0] a = 4'b1010;
reg [7:0] b = 8'b00001111;
assign result = {4'b0000, a} + b; // Zero-extend a to 8 bits
Q7. 연산자 우선순위를 어떻게 확인합니까?
 A. Verilog에는 미리 정의된 우선순위 규칙이 있습니다. 복잡한 식에서는 항상 괄호를 사용하여 명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하십시오.assign result = (a + b) * c;
Q8. 조건 연산자는 합성 가능한가요?
 A. 예, 조건 연산자(? :)는 합성 가능합니다. 다만, 깊게 중첩된 조건은 비효율적인 하드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복잡한 로직은 if-else나 case 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Q9. Verilog 연산자를 VHDL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Verilog와 VHDL은 서로 다른 HDL이며 연산자 문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Verilog는 AND 연산에 &를 사용하지만, VHDL은 키워드 and를 사용합니다.Q10. 연산자가 올바르게 사용되었는지 어떻게 검증할 수 있나요?
 A. 연산자 사용을 검증하려면:- 시뮬레이션 실행 : $display또는$monitor로 계산 결과를 확인합니다.
- 테스트벤치 작성 : 독립된 모듈에서 연산자 로직을 검증합니다.
- 파형 뷰어 사용 : 시뮬레이션 도구에서 신호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합니다.